영화로 보는 미국-Hollywood 영화의 문화적 의미
김성곤 지음
미국과 Hollywood영화와의 관계에 대해 굉장히 압축적으로 잘 토해내고 있다.
어찌보면 이 책에도 분명히 오점이 있을수도 있겠지만
총체적으로 봤을때는 영화속에 표현된... 그릇되 보일수 있는 인식을 적절하게 표현해이해를 돕고 있다.
미국인의 대체적인 성향을 보니
내가 어릴때부터 주장하던것과 너무 닮아있어서 놀랬기도 했지만
그래서 그런지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미국인들의 가치관에 따른 행동거지에 대해서 공감을 할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이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우리나라에서는 이해할수 없는 차가운 방식이라고 나 또한 생각할수 있기에
나의 조그만 목소리로 그저 혼자서만 들리게끔의 아우성을 쳐야하는 원통함(?)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상대방에게 그것을 요구할수는 없는 일이다.
내가 이 사회에서 자리가 중요한 만큼 다른사람의 권리 또한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어쩌면 나보고 친미일당이라고 손가락 할지도 모르겠지만
손가락을 쳐드는건 그 사람의 자유이긴 하지만 손을 쳐든 만큼 그 사람의 인격이 무너진다고 생각하여야 할것이다.
내 생각까지 자기의 것으로 물들이려고 한다는건 공산주의 사회가 아닐까 싶다.
생각의 자유는 누구에게나 누릴 자유가 있지만
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그것을 강요할 권리는 없는것이다...
어쨌든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어보지는 않을거지만 지나가다 이책을 발견하면 한번쯤은 여유삼아 읽어도 삶에 있어서 무방한 하루가 되지 않을까 싶다.
영화로 보는 미국-Hollywood 영화의 문화적 의미
김성곤 지음
미국과 Hollywood영화와의 관계에 대해 굉장히 압축적으로 잘 토해내고 있다.
어찌보면 이 책에도 분명히 오점이 있을수도 있겠지만
총체적으로 봤을때는 영화속에 표현된... 그릇되 보일수 있는 인식을 적절하게 표현해이해를 돕고 있다.
미국인의 대체적인 성향을 보니
내가 어릴때부터 주장하던것과 너무 닮아있어서 놀랬기도 했지만
그래서 그런지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미국인들의 가치관에 따른 행동거지에 대해서 공감을 할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이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우리나라에서는 이해할수 없는 차가운 방식이라고 나 또한 생각할수 있기에
나의 조그만 목소리로 그저 혼자서만 들리게끔의 아우성을 쳐야하는 원통함(?)이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상대방에게 그것을 요구할수는 없는 일이다.
내가 이 사회에서 자리가 중요한 만큼 다른사람의 권리 또한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어쩌면 나보고 친미일당이라고 손가락 할지도 모르겠지만
손가락을 쳐드는건 그 사람의 자유이긴 하지만 손을 쳐든 만큼 그 사람의 인격이 무너진다고 생각하여야 할것이다.
내 생각까지 자기의 것으로 물들이려고 한다는건 공산주의 사회가 아닐까 싶다.
생각의 자유는 누구에게나 누릴 자유가 있지만
남에게 피해를 주거나 그것을 강요할 권리는 없는것이다...
어쨌든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어보지는 않을거지만 지나가다 이책을 발견하면 한번쯤은 여유삼아 읽어도 삶에 있어서 무방한 하루가 되지 않을까 싶다.